[뉴스데스크]
◀ 앵커 ▶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위법적 행보를 거침없이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엔 공영방송 EBS 사장을 임명하며 또 부위원장과 둘이서 의결을 강행했습니다.
문제의 '2인 의결'에 대해선 최근 대법원까지 확정적으로 제동을 거는 결정을 내렸는데요.
언론계와 시민사회의 비판이 거센 가운데, 다시 법정 공방이 예고돼 있습니다.
윤수한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오늘 방송통신위원회가 임명한 신동호 EBS 신임 사장.
10여 년 전 MBC 아나운서국장 시절 노조 활동 등을 문제 삼아 후배 아나운서를 다른 부서로 내보내고 프로그램에서 배제한 정황이 드러나, '언론 탄압'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2020년 21대 총선 한 달 전 퇴사해 곧장 미래통합당 비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 후보로 출마했습니다.
'정치적 중립성' 측면에서도 공영방송 사장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입니다.
특히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과거 직장 동료인 신 사장을 4년 전 자신의 유튜브 방송에서 '사랑하는 후배'라 소개하는가 하면, 같은 정당에서 활동한 시기도 겹쳐 '이해충돌' 지적마저 거셌습니다.
그럼에도 이 위원장은 김태규 부위원장과 전체회의를 열어, 선임 의결을 강행했습니다.
이같은 방통위 '2인 의결'의 법률적 결함은 최근 대법원에서도 확인됐습니다.
'2인 방통위'가 임명한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진 임명 효력 정지가 확정된 겁니다.
하지만 이 위원장은 법리적 비교가 불가능한 자신의 탄핵 사건 결과를 들이대며, 현실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진숙/방송통신위원장 (지난 18일)] "(방통위) '2인 체제'가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저는‥ 심지어는 탄핵을 겪은 사람으로서 다시 한번 여러분들께 말씀드리고‥"
EBS 구성원과 언론단체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EBS 노조원들은 내일 아침 신임 사장의 출근저지 투쟁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오늘 물러나게 된 김유열 EBS 전 사장도 내일 방통위의 임명 효력을 멈추고 취소해달라는 집행정지 신청과 본안 소송을 낼 예정입니다.
50명이 넘는 EBS 보직 간부 전원은 결의문을 내고 "2인 체제에서 이뤄진 결정은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없다"며 "결코 사장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국언론노조도 "사법부가 인정한 방통위 2인 체제의 위법한 결정이 반복되도록 용인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MBC뉴스 윤수한입니다.
영상편집 : 김창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 김창규
윤수한 기자(belifact@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desk/article/6700072_36799.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