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OA 로고
인공지능(AI) 시대 통신사의 역할은 망 사업자에 머무르지 않고 디지털 인프라와 플랫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종합 ICT 파트너'로 거듭나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는 27일 서울시 강남구 씨스퀘어에서 '제4차 AI 미래가치 포럼' 공개세미나를 개최했다.
AI 미래가치 포럼은 인공지능(AI) 기술발전과 함께 급변하는 산업환경 속에서 AI를 선도하는 핵심 주체로서 통신사업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구성됐다. AI 관련 정책·규제개선 방안 등을 모색해 정부·국회의 정책 수립 과정에 의견을 제시하는 등 활동을 펼치기 위해 주요 통신사업자와 AI 법·제도, 기술분야 전문가들이 지난해 9월 출범했다.
이번 공개세미나는 “통신사 AI 서비스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김민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통신사 신사업 전략을 위한 국내·외 AI 사례 고찰' 이라는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우리나라 통신사들이 더 이상 단순 망사업자에 머무르지 말고 AI 인프라·플랫폼·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종합 ICT 파트너'로 거듭나야 함을 강조했다.
방성현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는 'AI 시대 국내·외 규제동향 및 통신사 신사업을 위한 규제개선 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방 변호사는 글로벌 AI 시장 선도를 위하여 저작권법, 개인정보보호법, 위치정보법의 구체적인 개정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진 좌담회에서는 이성엽 포럼 의장의 진행으로 △김수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진흥과장 △김직동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정책과장 △김용대 한국인공지능학회장 △모정훈 한국경영과학회장 △이영탁 SK텔레콤 성장지원실장 △김훈동 KT AI Lead 상무 △김기현 LG유플러스 김기현 AX기술그룹 연구위원 △이상학 KTOA 부회장이 패널로 참여해 AI 시대 통신 산업의 미래를 논의했다.
참석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통신 산업뿐만 아니라 전 산업 분야의 혁신을 이끌 핵심 동력임을 다시한번 확인하며,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협력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성엽 포럼 의장은 “이번 포럼은 통신 사업자들이 AI 시대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전략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포럼 개최를 통해 AI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 및 규제개선 방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이상학 KTOA 부회장은 “이번 포럼의 결과물이 통신사의 AI 사업전략 구체화 및 AI 관련 규제개선 공감대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AI 미래가치 포럼은 통신분야 AI 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산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