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의 깃발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사진=뉴스1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오는 4일로 정한 가운데 경찰이 비상이 걸렸다. 선고 당일 일어날 수 있는 유혈 사태 등에 대비해야 해서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경찰은 선고 당일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사태인 유혈 사태까지 고려한 경비 계획 보강에 막바지 총력을 다하고 있다.
먼저 선고 당일 전국에 '갑호비상'을 발령해 경찰력 100%를 동원한다. 이는 비상근무 태세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이다. 선고 전날 서울엔 두 번째로 높은 비상근무 단계인 '을호비상'을 발령할 예정이다. 폭력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해 전국 기동대 338개 부대 소속 2만여명을 동원하고, 그중 62%인 210개 부대 소속 1만4000명을 서울에 배치할 예정이다.
기동대는 이날 상하의 방검복과 방검장갑 등을 입고 캡사이신 분사기, 120㎝ 경찰 장봉 등을 지참해 과격 시위에 대비한다. 경찰이 집회 참가자를 향해 캡사이신 분사기를 사용한 것은 2017년 3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가 마지막이었다.
경찰은 헌재 인근에서 가장 폭력 사태가 많이 일어날 것이라 보고, 헌재 100m 반경 내에 외부인이 출입하지 못하게 제한할 예정이다. 헌재 외 서울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상사는 서울 도심을 8개 권역으로 나눠 '특별범죄예방 강화구역'으로 지정한다.
경찰은 선고를 앞두고 집회 열기가 뜨거워질 것을 고려해, 선고 며칠 전부터 헌재를 진공상태로 만들지 논의하고 있다. 경찰은 이미 시위대가 헌재에 난입할 가능성을 대비해 헌재 담장 위 철조망을 설치하고 경찰 차량·펜스를 보강한 상태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임박할수록 위협을 받는 헌법재판관에 대한 신변 보호 수준도 강화할 예정이다. 경찰은 헌법재판관 모두에게 전담 신변 보호를 하고 있고, 자택 안전 관리도 112 순찰과 연계해 지속하고 있다. 경찰은 탄핵 심판일 전후로 신변 보호 인력을 추가로 배치할 계획이다. 경찰이 헌법재판관들의 경호에 주의를 기울이는 건 윤 대통령 지지자와 유튜버들의 위협이 도를 넘고 있어서다.
만약 윤 대통령이 선고 기일에 직접 출석해 헌재에 모습을 드러낸다면 소요 사태는 더 격화할 전망이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대통령의 출석 여부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단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모습을 드러내는지 여부가 선고 당일의 가장 큰 변수"라며 "대통령이 등장하면 지지자들의 흥분이 정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