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 포럼
산·학·연 협력하는 핵융합 산업생태계 활성화 강조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한국의 인공태양'인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를 이용해 핵융합에너지를 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현실화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태양이 에너지를 방출하는 모습. 사진=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윤시우 부원장은 1일 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서 열린 '민관협력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 포럼'에서 "혁신형 핵융합로의 성공을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의 협력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최원호 교수는 "기존 핵융합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온초전도체·AI 등 첨단기술을 도입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과 현대건설, 모비스, 한국전력기술 등 국내 핵융합 분야 기업을 비롯한 학계 및 연구계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해 글로벌 핵융합에너지 확보 경쟁에서 앞서기 위한 당면 과제를 논의했다.
핵융합 주요국들은 최근 모든 산업의 인공지능(AI)·디지털화로 인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해 민간기업과 협력을 바탕으로 전력실증을 2030∼2040년대로 앞당기는 도전적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또 7개국 공동으로 건설중인 국제핵융합로(ITER) 프로젝트를 통한 설계, 제작 및 운영 기술 등을 획득하는 전략과 함께 자체적으로 핵융합로의 소형화 등 혁신 전략을 병행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핵융합 유망 기업들은 핵융합에너지 조기 상용화를 위해 소형화를 중심으로 한 혁신형 핵융합로를 적극적으로 개발 중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나라는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인 'K-STAR' 운영 등을 통해 세계적인 핵융합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제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대비한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혁신형 핵융합로의 개념과 필요성, 민관협력 전략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으며, 전문가 발제, 패널토론, 참석자 전원 자유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최원호 교수는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를 위한 혁신형 핵융합로의 개념 및 도입 필요성'을 발표했다. 다음으로 윤시우 부원장은 '혁신형 핵융합로 도입에 따른 주요 파라미터 제안 및 단계별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기존 토카막 방식의 핵융합장치보다 작지만 성능이 뛰어난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를 제안하고,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설명했다.
이후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혁신형 핵융합로의 도입 타당성, 핵융합 산업 생태계 조성, 민간 기업의 참여 확대 방안, 연구개발(R&D) 투자 활성화 전략 등을 논의하며, 핵융합 기술의 실질적인 상용화 가능성을 모색했다.
#과기정통부 #핵융합 #인공태양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