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애플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서비스인 ‘애플 인텔리전스’ 한국어 버전을 지난 1일 출시했다.
지난해 10월 서비스를 처음 선보일 당시 영어로만 이용할 수 있었는데 이날 지원 언어에 한국어 등 8개를 추가했기 때문이다.
애플은 이날 아이폰 운영체제(iOS) 18.4와 맥 운영체제 세쿼이아 15.4를 업그레이드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사용 기기는 스마트폰 기준으로 아이폰15 프로 이상부터 가능하다.
애플이 이날 공개한 온디바이스 AI 기능은 △글을 수정하거나 교정·재작성하는 ‘글쓰기 도구’ △메일·알림을 요약하는 ‘최우선 알림’ △‘클린업’(AI 사진 지우개)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한 뒤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지능’ △음성 녹음·요약 등이다. 이는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같은 기능은 삼성전자가 지난해 1월 출시한 갤럭시AI와 대부분 일치한다. 애플 인텔리전스에는 잠금화면 아랫부분을 통해 시리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됐는데, 이는 지난 2월 삼성전자가 갤럭시 S25 시리즈 잠금화면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나우바(Now Bar)’를 도입한 것과 비슷하다.
온디바이스 AI를 구현하는 방식도 삼성전자와 유사한 방법을 채택했다.
앞서 지난달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 전시장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 사업부장은 갤럭시AI 구동 방식을 두고 “성능이 받쳐주는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온디바이스로 하고 있으며 좀 더 고성능을 원할 때에는 클라우드를 이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애플 또한 대부분 인공지능 서비스를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가동하고 있지만 확장된 범위의 기능을 가동해야 할 때 비공개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동안 애플이 보안을 이유로 자체 스마트 기기에 외부 모델을 도입하지 않던 기존 정책을 버린 점도 주목된다.
애플은 자체 인공지능 비서 서비스인 시리(Siri)에 오픈AI의 챗GPT를 탑재했는데, 만약 사용자가 활용에 동의하면 검색 정보를 오픈AI로 보낼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는 챗GPT 활성화 여부를 직접 선택할 수 있으며, 어떤 정보를 공유할 것인지도 정할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서는 애플 스마트 기기의 두뇌인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성능이 떨어진 탓에 AI 기능의 구현이 늦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 인텔리전스 AI 서비스를 비교적 최신 모델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것도 애플이 아직 자체 AI 모델 경량화에는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