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5일 출시되는 ‘닌텐도 스위치2’. <한국닌텐도>
오는 6월 5일 출시되는 콘솔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 2’의 해외판 가격이 일본 내수용보다 40% 더 비싸게 매겨졌다. 업계에서는 닌텐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부과 여파를 줄이기 위한 꼼수를 펼친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상호관세로 인해 미국에서 판매될 스위치 2 가격이 100만원 수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3일 닌텐도는 일본 전용 스위치 2는 4만9980엔(약 50만원), 해외에서 이용 가능한 ‘다언어 대응’ 기기는 6만9980엔(약 70만원)에 판매한다고 밝혔다. 가격 차이는 40%에 달한다.
미국 발매 가격은 449.99달러(약 66만원), 유럽 가격은 469.99달러(약 69만원)로 해외판과 비슷하게 매겨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가격은 시장에서 예상한 가격대 중 최고가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한국에서는 64만8000원에 판매한다.
일본 전용 버전은 일본 닌텐도 계정만 이용할 수 있고 지원되는 언어도 일본어뿐이다. 제조사가 나라에 따라 같은 제품의 가격을 다르게 매기는 사례는 많지만, 내수용과 해외용의 가격 차이가 40%나 나는 것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전작인 닌텐도 스위치 1이 일본 내수판 2만9980엔, 미국 등 해외판 299.99달러(당시 환율 적용 시 약 3만4199엔)로 가격 차이가 14.1%에 그쳤던 것과도 비교된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닌텐도가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손실분을 만회하기 위해 해외판 가격을 유독 높게 책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 FT는 일본 게임 업계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닌텐도가 관세로 인한 공급망 충격에 대비해 완충 지대를 구축하고자 이 같은 가격을 책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또 FT는 닌텐도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 대비해 이미 수십만 대 분량의 닌텐도 스위치 2를 베트남 공장에서 미국으로 선적했다고 밝혔다. 앞서 닌텐도는 미·중 갈등의 여파를 고려해 일찌감치 생산공장을 중국에서 베트남과 캄보디아 등으로 옮긴 바 있다.
문제는 닌텐도의 노림수가 무색하게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가 중국뿐 아니라 베트남과 캄보디아에도 적용됐다는 것이다. 미국은 베트남 수입품에는 46%, 캄보디아에는 49%의 관세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미국에서 판매되는 닌텐도 스위치 2 가격은 캄보디아에서 생산된 제품의 경우 최대 670.49달러(약 98만원)로 치솟는다. 미국 최대 정보기술(IT) 관련 커뮤니티 레딧에서는 이와 관련해 “끔찍하다” “트럼프를 뽑은 사람들을 비난하겠다”는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