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노소 대체로 인정… 일부 "헌재, 민주당에 굴복" 분노 표출도
"분열 통합, 미래 희망" "다시는 계엄 없었으면" "당 아닌 인물 투표"
지난 4일 오전 대전역에서 시민들이 TV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지켜보고 있다. 김영태 기자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이후 지역민들은 '일상으로의 회복'을 기대했다.
또 그간의 분열을 멈추고 통합과 미래에 대한 희망도 바랐다. 반면 일각에선 여전히 헌재의 결정에 분노를 표출하기도 했다.
6일 대전역에서 만난 황 모(23·여)씨는 "시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어 참 기쁘다. 하루 빨리 다른 것들도 제대로 돌아갔으면 좋겠다"며 "지금의 상황이 나중에 어떠한 모습으로 기록될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 모(58) 씨도 "그동안 너무 힘들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됐다"며 "이제 일상으로 돌아갈 준비를 해야겠다"고 전했다.
안모(29·대전 신탄진)씨는 "현역으로 근무한 저는 전시 상황도 아님에도 불리한 정치 입장을 타파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대통령의 권한을 어처구니없이 사용해 국제 정세에 많은 악영향을 줬다. 이번 결과는 맞았다"고 평가했다.
대전 서구에 거주하는 50대 한 모 씨도 "성숙한 국민의식이 있는 한 절대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결정 이후) 지역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새로운 도약이나 희망의 계기가 되지 않을까"라고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했다.
임 모(30·여·충북 청주)씨도 "어떤 대통령이 되든지 간에 국민을 담보로 해서 계엄을 하는 일은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고 일침했다.
이와 달리 헌재 결정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충북 청주 80대 임 모 씨는 "헌재가 민주당에 굴복했다"며 "윤 전 대통령의 일을 하나하나 방해한 야당 인사들도 탄핵 물망에 올라야 한다"고 분개했다.
앞서 4일 헌재 판결 당일 탄핵 집회를 불편하게 바라본 황 모(50) 씨는 "탄핵 심판 절차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나라가 어떻게 되려고 하는 거냐, 믿기지 않은 결과"라고 토로했다.
지역민들은 차기 대선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특히 이번 선거에선 정당이 아닌 인물을, 전국적 사안이 아닌 지역 현안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미래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내비쳤다.
김 모(28·충북 제천)씨는 "나라가 탄핵 정국으로 분열된 상태다.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통합'이 빨리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다음 대선에서 '서울 공화국'보다 지역을 살리는 공약을 내세우는 후보에게 투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래의 이 모(28·대전 둔산) 씨도 "다음 대선은 국민들이 후보 검증을 좀더 면밀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 현안을 잘 알고, 당에 치우치지 않고 국민 통합을 말하고자 하는 사람을 눈여겨 보겠다"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충남 논산의 60대 이 모 씨는 "윤 전 대통령이 '충청의 아들'을 표방해 지역민들에게 표를 요구했지만 이 사달이 나고야 말았다"며 "앞으로 지역과 연고가 없더라도 정말 지역을 위해 일할 사람을 뽑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