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진정한 AI TV 시대 선포
‘언박스&디스커버 2025’ 개최
신제품 라인업 대거 공개
국내 OLED TV 1위 목표
작년보다 OLED 수량 확대
관세엔 10개 생산거점 대응
삼성전자 모델이 삼성 강남에서 진행된 ‘Unbox & Discover 2025’ 행사에서 115형 초대형 TV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2025년형 TV 신제품을 대거 출시하며 진정한 인공지능(AI) TV 시대를 선언했다. 기존 TV 역할을 넘어 사용자 니즈와 취향, 의도까지 파악해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삼성전자는 7일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신제품 출시 행사 ‘언박스&디스커버 2025’를 열고 △네오 QLED 8K·OLED·QLED·더 프레임 등 강화된 AI TV △초대형 TV △이동형 스크린 ‘무빙스타일’ △초단초점 프로젝터 ‘더 프리미어 5’ 등 제품군을 공개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은 “삼성이 지향하는 비전 AI는 사용자의 옆에서 일상을 더 쉽고 편리하게 만드는 동반자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소비자들의 기대를 넘어서 기존 스크린으로는 하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의 세계를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AI TV에는 ‘AI 홈’ ‘AI 어시스턴트’ ‘AI 시청 최적화’ 등 일상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이 탑재됐다.
대표적으로 AI 홈은 ‘홈 인사이트’와 ‘홈 모니터링’을 통해 스마트 홈 경험을 향상했다. 홈 인사이트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 사용 이력, 실내 환경 등을 고려해 ‘실내 온도가 높으면 에어컨 켜기’ 등 필요한 행동을 추천한다. 홈 모니터링은 부재 설정 시 이상 움직임이 감지되면 실시간 알림을 보내줘 부재 중에도 반려동물이나 아이를 케어할 수 있다.
삼성전자 용석우 사장이 ‘Unbox & Discover 2025’ 행사에서 진정한 AI TV 시대를 선언하며 2025년 TV 전략을 소개했다. [사진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올해 AI TV 라인업을 기존 네오 QLED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9개 시리즈 34개 모델에서 올해 QLED와 더 프레임을 포함해 14개 시리즈 61개 모델로 확대했다. 기존 98형이 최대 크기였던 네오 QLED는 올해 100형, 115형 제품까지 추가해 초대형 TV에 대한 소비자 수요에 대응했다.
OLED는 3개 시리즈에 6개 사이즈로 14개 모델을 출시한다. 용 사장은 “올해는 OLED TV의 소형·대형 라인업을 확대했고, 수량에서도 작년(140만대)보다 더 확대할 계획”이라며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시장이 성장하면서 OLED TV 비중을 계속해서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2022년 OLED 시장에 처음 진출한 이후 점유율을 꾸준히 높여왔고, 현재 LG전자에 이은 글로벌 2위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TV 시장에서 삼성전자 점유율(수량 기준)은 2022년 3.1%에서 지난해 23.5%로 8배가량 늘어났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OLED TV 경쟁력을 업계 최고 수준이라고 생각하고 한국 시장에서 올해 1등을 할 것”이라며 “올해 풀 라인업이 갖춰졌고 AI 비전과 같은 막강한 기능이 탑재돼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드 세그먼트(중간 가격대)에서도 라인업을 확대해 중국 업체 등 경쟁사의 추격을 따돌린다는 계획이다. 용 사장은 “저희가 그동안 프리미엄과 엔트리(저가) 모델에 집중하면서 비어 있던 미드 세그먼트 부분을 중국 등 경쟁사들이 공략해 포션을 넓혀왔다”며 “중국이 가져간 포션을 뺏어오기 위해 라인업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북미향 TV 대부분은 멕시코에서 생산되므로, 관세 영향은 경쟁사 대비 작다”며 “(관세정책이) 계속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은 생산 거점이 세계 10곳에 있어 관세에 따라 생산 거점을 통해 관세로 인한 파고를 넘어가려 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멕시코를 비롯한 브라질,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에 TV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