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들 AACR 2025 대거 참가
TPD·ADC·플랫폼 등 연구결과 발표
국내 바이오제약기업들이 이달 25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막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연례 학술대회에 총출동한다. 국내 기업들은 이번 학회에서 표적단백질 분해제(TPD),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항체 등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모색한다.
AACR은 암과 관련한 비임상 및 초기 임상결과를 발표하는 학회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모달리티(Modality)로 무장한 차세대 항암제 개발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국내 표적단백질 분해제 개발기업, AACR 대거 출동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학회에 국내 표적단백질 분해제(TPD) 개발기업인 SK바이오팜, 유빅스테라퓨틱스, 이노큐어테라퓨틱스, 사이러스테라퓨틱스, 핀테라퓨틱스, 이노파마스크린, 테라펙스 등이 참여한다.
표적단백질 분해제는 기존의 표적항암제가 접근하기 어려운 질병 유발 단백질을 타깃 가능해 각광을 받고 있다. 구조와 작용 방식에 따라 단백질 분해제(PROTAC), 분자 접착제(Molecular Glue) 등으로 나뉜다.
먼저 SK바이오팜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은 P300 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TPD 연구결과를 공개한다.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는 분자접착제 발굴 플랫폼인 MOPED를 통해 다양한 타깃의 TPD를 발굴하고 있다.
또한 유빅스테라퓨틱스는 이번 학회에서 난치성 KRAS 돌연변이 암 치료를 위한 'SHP2 단백질 분해제'를 소개하고 이노큐어테라퓨틱스는 'MET 단백질 분해제', 사이러스테라퓨틱스는 'GSPT1 단백질 분해제', 핀테라퓨틱스는 'CK1α 단백질 분해제', 이노파마스크린은 'KRAS G12D 단백질 분해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공개한다.
국내 항체 신약 기업들, 항체약물접합체로 확장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2025 /출처=AACR
국내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개발 기업들도 이번 학회에 대거 참여한다.
국내 대표 ADC기업인 리가켐바이오는 2020년과 2021년 각각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체결한 파트너사인 소티오와 익수다테라퓨틱스에서 각각 SOT106과 IKS04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SOT106은 LRRC15를 타깃하는 단일클론 항체, IKS04는 CA242를 타깃하는 단일클론항체 기반의 ADC 파이프라인이다.
단일클론항체를 보유한 기업들은 ADC로 영역을 확장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B7-H3를 표적으로 하는 pH-감응 항체를 활용한 ADC를,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HLA-G 단백질을 타깃하는 항체 기반의 ADC 연구결과를 공개한다. 지놈앤컴퍼니는 신약 개발 플랫폼 '지노클'을 통해 발굴한 CNTN4 타깃 항체·약물 접합체(ADC) 치료제 'GENA-104 ADC'의 추가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남도현 삼성서울병원 교수가 2018년 설립한 에임드바이오는 ROR1 ADC, Glycoproein ADC 등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하고, 테라펙스는 'GSPT1 분자 접착제'와 'CD33 표적 항체'를 결합한 형태의 TRX-214-1002 연구결과를 공개한다.
SC제형, 차세대 항암파이프라인 등 공개
휴온스는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하이디퓨즈(HyDIFFUZE)'를 활용해 기존 정맥주사(IV) 항체의약품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전환하는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 SC제형은 알테오젠이 연이어 글로벌 기술이전에 성공해 주목받고 있다.
펩트론은 ADC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세대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 'IEP(Internalization-Enhancing Peptide)'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압타머사이언스는 Trop2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압타머-약물 접합체(ApDC)인 AST-203 연구결과를 공개한다.
대웅제약은 차세대 항암 파이프라인 3종을 공개한다. 표적항암제 'DWP216'과 면역항암제 'DWP217', 합성치사항암제 'DWP223'로 모두 퍼스트인클래스(First-in-Class)에 도전하는 신약후보물질이다.
한미약품은 SOS1-KRASmulti 억제제 'HM101207', 'STING mRNA 유사체 개발로 발전시킨 면역 요법, PD-L1x4-IBB 이중항체인 'BH3120' 등 총 11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제일약품 계열사인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차세대 이중저해 표적항암제 신약 후보 물질인 '네수파립'의 위암 관련 비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
SK증권 이선경 연구원은 최근 낸 보고서에서 "AACR은 국내 다수의 기업들이 참가, 새로운 타겟 및 접근법에 대한 초기 단계 연구 발표할 예정"이라면서 "미래 성장 가능성과 방향성을 진단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장종원 (jjw@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