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 개최
'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달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핵심과제 추진성과 및 향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와 국가전략기술 주요 기업, 대학, 연구기관이 한국이 기술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총력을 다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민관이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해 함께 대책을 논의하는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행사에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오태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과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신동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류석현 한국기계연구원 원장이 참석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LG사이언스파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CJ바이오사이언스, 포스코홀딩스, 두산에너빌리티, 삼성전자, 네이버클라우드 등 산업 관계자와 서울대, KAIST, 포스텍 등 학계 관계자도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국가전략기술에 대해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정부는 기업이 과감히 도전하고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로 했다. 기술패권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전략기술 우수 인재 양성 종합대책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으기도 했다. 과기정통부는 '제5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기술 분야별, 산업별로 인재가 빠르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세계 최고 인재를 유치하는 방안 등을 강구하기로 약속했다.
또한 국가전략기술의 확산 및 신속한 사업화를 위해 차별화된 산·학·연·관 연구협력체계 및 실패를 용인하는 일관적이고 장기적인 R&D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학·연구소의 규제 프리지역 지정 등을 통해 신기술 적용을 지원하고 상용화를 가속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과기정통부는 이후 실무 추진위원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해 국가전략기술 아젠다 발굴 및 규제·제도 개선 방향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9월말 '국가전략기술 서밋'을 개최해 산·학·연, 글로벌 싱크탱크 등이 함께 하는 자리에서 과학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공동의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날 ‘국가전략기술 확인서 수여식’이 개최되기도 했다. 국가전략기술을 ‘보유·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받은 기업은 6개로 알지노믹스, 디씨티 머티리얼, 페리지 에어로스페이스, 진코어, 레티널, 인이지다.
유 장관은 “과기정통부는 R&D 성과가 연구실을 넘어 새로운 경제․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건강한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범부처와 협력하여 기술․기업 성장 전주기 지원을 확대하고 분야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며 “오늘 모인 기업들이 미래 대한민국의 대표기업으로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성장을 통해 국가전략기술의 육성에 힘써 주시길 부탁드리며 정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