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서 전문가 주장
민간 적극적 투자 공감..대학-연구기관, 기초기술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를 개최했다. 행사에 참가한 산학연관 주요 인사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유상임(왼쪽 네번째) 과기정통부 장관이 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국가전략기술 확인서 수여식'에서 6개 기업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산학연 전문가들은 R&D 투자 확대를 통해 민관이 역량을 결집해 국가전략기술의 신속한 사업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한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격화 속에서 국가전략기술 기반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구자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장,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유홍림 서울대 총장,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오태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 등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미래 대화에서는 과학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차세대 성장동력 및 국가 아젠다 발굴을 비롯해 국가전략기술을 통해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양성, 제도개선 등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대내외 급격한 환경 변화에서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R&D 투자가 절실하다는 데 공감했다. 이를 위해 정부 R&D 투자 확대뿐 아니라, 기업과 연구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가전략기술의 신속화 사업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과기정통부는 신산업, 미래 공급망,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전략적 가치가 높은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해 올해 6조4000억원을 투입한다. 민간 R&D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등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기로 했다.
참석자들은 정부뿐 아니라 민간의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위해 기업이 과감히 도전하고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은 기초·원천기술 개발과 인재양성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전략기술을 신성장 동력으로 발굴하기 위해선 산학연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참석자들은 기술패권 확보를 위한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우수 인재 양성 종합대책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이들은 AI, 양자, 반도체, 첨단 바이오 등의 핵심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할 인재 풀 확대가 절실하다는 얘기다. 아울러, 국가전략기술 확산과 신속한 사업화를 위해 차별화된 산학연관 연구협력 체계와 실패를 용인하는 장기적인 R&D 지원체계, 대학·연구소의 규제 프리지역 지정 등의 정책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세계 최고 인재를 유치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범국가적 협업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성과가 신속하게 창출될 수 있는 제도를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미래대화에 이어 국가전략기술 보유·관리를 확인받은 6개 기업에 대한 '확인서 수여식'이 열렸다. 이들 기업은 초격차 기술 특례 상장이 가능하고, 병역지정업체 선정 시 가점 부여, 정책금융 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면 민관 역량을 총결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세계 최고의 인재가 유입되는 인재 생태계를 구현하고, 국가전략기술 우수 성과가 신속하게 사업화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