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탐사 로버, 화성에서 먼지 악마 한 쌍 포착
(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미국 항공우주국(NASA) 화성탐사 로버 ‘퍼시비어런스’가 화성에서 부는 회오리 바람인 ‘먼지 악마’가 서로 충돌하는 모습을 촬영해 공개했다고 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가 9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퍼시비어런스는 지난 1월 25일 화성 모래언덕을 가로지르는 일명 ‘더스트 데빌(dust devil)’을 포착했다. 영상에서 잘 보이지 않은 작은 먼지 악마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더 큰 먼지 악마를 따라 가다 빨려 들어가는 모습이 담겨 있다.
NASA 퍼서비어런스 로버는 1월 25일 작은 먼지 소용돌이(왼쪽 앞)가 더 큰 먼지 소용돌이(오른쪽)를 따라잡아 하나의 회오리바람으로 합쳐지는 모습을 촬영했다. (출처=NASA/JPL-칼텍/SSI)
퍼시비어런스, 약 1km 거리서 먼지악마 모습 포착
영상 촬영 당시 퍼시비어런스 로버는 약 1km 가량 떨어져 있었다. 더 큰 먼지 악마의 너비는 약 65m, 작은 먼지 악마는 너비 5m로 추정되며 촬영 시야에 가려져 실제 높이가 어느 정도인지 불분명하다.
마크 레몬 NASA 우주과학연구소 퍼시비어런스 선임 연구원은 "먼지 악마인 대류 소용돌이는 다소 기괴할 수 있다"며, "이 작은 회오리바람은 화성 표면을 돌아다니며 먼지를 휩쓸고 지나가면서 주변 지역의 시야를 방해한다"고 밝혔다.
퍼서비어런스가 2023년 8월 30일에 촬영한 이 먼지 소용돌이는 새 영상에 나온 더 큰 회오리바람과 너비가 같았고 높이는 약 2km로 추정됐다. (출처=NASA/JPL-칼텍)
이번처럼 두 개의 먼지 소용돌이가 서로 충돌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마크 레몬은 "두 개의 먼지 소용돌이가 서로 만나면 서로를 소멸시키거나 아니면 합쳐지면서 강한 쪽이 약한 쪽을 삼켜 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영상 속 작은 악마가 안쓰럽다면, 더 큰 악마가 몇 분 후 최후를 맞이했다는 사실에 위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화성의 먼지 악마는 약 10분 정도만 지속된다"고 설명했다.
먼지 악마, 왜 형성되나
2012년 화성에서 포착된 먼지 회오리 바람 '먼지 악마'의 모습. 높이가 20km에 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NASA/JPL/미 애리조나대학)
먼지 소용돌이는 태양열에 데워진 화성 표면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형성된다. 공기가 상승하면 차가운 공기가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아래로 밀려오고, 그 공기는 다시 가열되어 상승하면서 점점 더 빠르게 회전하는 상승 기류를 형성한다. 이런 현상은 지구에서도 발생하지만, 화성에서는 더 극적으로 나타난다.
NASA 관계자는 "유입되는 공기가 기둥으로 올라가면 마치 회전하는 피겨 스케이터가 팔을 몸에 가까이 대는 것처럼 속도가 빨라진다”며, "들어오는 공기는 먼지를 흡수하여 먼지 폭풍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케이티 스택 모건 NASA 제트추진연구소 퍼서비어런스 로버 과학자는 “먼지 악마는 화성의 날씨 패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이런 현상은 바람의 방향과 풍속 등의 대기 조건을 나타내며 화성 대기의 먼지 중 약 절반을 차지하는 원인"이기 때문에 이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화성의 먼지 악마를 최초로 포착한 것은 1970년대 NASA 바이킹 궤도선이다. 퍼시비어런스는 2021년 7월부터 다양한 화성 악마를 포착했으며 2021년 9월 먼지악마의 소리를 마이크로 수집해 공개하기도 했다.
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