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이데일리 가상자산포럼]
미국은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금융 패권 재정의
전문가들, 원화 스테이블코인 통한 글로벌 연결 강조
콘텐츠·무역·결제까지..민병덕 "연내 디지털 자산 기본법" 입법 의지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미국이 스테이블코인 활성화 정책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국내외 전문가들은 한국도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등 디지털 금융 시대에 대응할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11일 서울 중구 KG하모니홀에서 열린 ‘제1회 이데일리 가상자산 포럼’에는 200여 명이 참석해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확산과 각국의 정책 대응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전문가들은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가상자산이 아니라 전 세계 금융 시스템의 판도를 뒤바꿀 수 있는 핵심 수단”이라며 “특히 미국은 달러 패권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도구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테이블코인은 국제 결제, 디지털 자산 거래, 탈중앙화 금융(DeFi)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며, 글로벌 금융 질서의 중심축으로 부상 중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국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적극적인 제도 설계와 기술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박용범 단국대 교수, 이석 금융감독원 가상자산감독국 국장, 이해붕 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장, 서병윤 DSRV랩스 미래금융연구소장, 김종승 xCrypton 대표, 서은숙 상명대학교 교수가 11일 서울 중구 순화동 KG타워에서 열린 ‘제1회 이데일리 가상자산포럼’에서 ‘법인 가상자산 투자 허용에 따른 국내 시장 대응법’ 주제로 토론을 하고 하고 있다.
행사에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일가가 후원하는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1의 준비금을 관리하는 글로벌 디지털 자산 수탁사 비트고(BitGo)의 마이크 벨시(Mike Belshe) 대표이사(CEO)가 영상으로 참석해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금융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24시간, 수수료 없이 개인 간, 기업 간 자유로운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리스크 없이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금융 수단”이라며 “대부분의 국가는 도입이 불가피하며, 미국의 최근 6개월간 변화 속도를 감안할 때 한국 역시 곧 시장이 열릴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국내 전문가들도 공감의 목소리를 더했다. 서은숙 상명대학교 교수는 패널토론에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지 않으면 원화 자산이 글로벌 웹경제에서 고립될 수 있다”며 “스타트업이나 콘텐츠 기업들이 해외 결제 플랫폼에 종속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이 여전히 전통적인 결제 시스템(SWIFT 등)에 의존하게 되면, 무역 결제의 디지털화·자동화가 지연되고 이는 곧 기업의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며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서은숙 상명대 교수가 11일 서울 중구 순화동 KG타워에서 열린 ‘제1회 이데일리 가상자산포럼’에서 ‘글로벌 가상자산 정책이 한국 경제 및 시장에 미치는 영향’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한류 콘텐츠 산업과 연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경쟁력과 위상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서병윤 DSRV랩스 미래금융연구소장은 “위버스(Weverse) 같은 K-콘텐츠 플랫폼에서 팬들이 월 회비를 내고, 티켓이나 굿즈를 구매하는 수요가 활발하다”며 “이 같은 시장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연동하면 결제 편의성과 수익 회수 효율성이 커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외환위기 경험 때문에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지나치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그렇다고 가만히 있다고 글로벌 영향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며 “지금이 국가 차원의 전략적 활용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김종승 엑스크립톤 대표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단순 결제 수단이 아닌 국가 전략 자산으로 보고 제도화의 방향성을 명확히 해야 한다”며 “시장 수요는 이미 충분하고, 정부가 어떤 정책을 통해 어떤 결과를 얻을 것인지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로드맵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입법 차원의 대응 필요성도 제기됐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현재 ‘디지털(가상)자산 기본법’의 국회 통과를 연내 목표로 준비 중”이라며 “현재 가상자산 상장·폐지와 관련해 이해상충 문제가 존재하므로, 법정 협회를 통해 코인의 상폐 심사와 감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11일 서울 중구 순화동 KG타워에서 열린 ‘제1회 이데일리 가상자산포럼’에서 청중들이 경청하고 있다.
강민구 (scienc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