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국민의힘은 14일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제를 대선 공약에 반영하고, 주 52시간제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에 제안된 정책 중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제를 소개한다”며 “정책으로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월~목(요일)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외에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 4시간 일하고 퇴근하는” 울산 중구청의 사례를 소개하며 “주 40시간 근무시간을 유지하면서도 금요일 오후 휴무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총 근무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며 “이는 기존 주 5일 근무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의 실질적인 워라밸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2월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창의와 자율의 첨단기술사회로 가려면 노동시간을 줄이고 ‘주 4.5일제’를 거쳐 ‘주4일 근무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한 바 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에 대해 “근로시간을 줄이되 받는 급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런 방안은) 오히려 노동시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며 “근로시간을 줄이면 받는 급여가 주는 게 상식이라는 비판에 민주당은 설득력 있는 설명을 내놓지 못한다”고도 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에 “국민의힘은 법정근로시간 40시간을 유지하되 유연근로제를 통해 실질적으로 주 4.5일제 이점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 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주5일제와 주52시간제 근로는 시대 흐름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 제도로 유연한 근로문화의 걸림돌”이라며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주 52시간 규제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산업 분야를 면밀히 분석해 실질적인 제도 개선 방안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전광준 기자 light@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