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출연연 벽허물기 현장간담회…협력 정책방안 소개
"공동연구과제 기반 없이 학-연 간 자유로운 교류 지원"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대학-출연연 협력 강화를 위한 현장간담회’를 경북대학교에서 공동 개최했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대학과 출연연간 협력 강화를 위해 본격 나선다. 올해 학연 인력교류 지원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공동 연구과제 기반 없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교육부와 ‘대학-출연연 협력 강화를 위한 현장간담회’를 경북대학교에서 공동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간담회에는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 오석환 교육부 차관, ETRI원장, 경북대 총장 및 대학·출연연 관계자 등 약 20여명이 참석하였다.
이번 간담회에서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학-연 간 인적·물적 칸막이 제거, 공동연구 및 공동투자 기반의 기술사업화 지원 등의 학-연 협력 정책방향을 소개했다.
경북대와 ETRI는 ’학연플랫폼구축지원시범사업‘ 등 관련 사업을 통한 양 기관 협업 현황 및 계획을 발표했다.
자유토론 시간에는 학연 공동연구 및 공동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와 학·연이 서로 다른 강점을 기반으로 상호 성장하는 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공유됐다.
양 부처는 지난달 발표한 '대학-출연연 벽허물기 추진전략'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공동 발간한 ‘학연 인력교류안내서‘를 현장에서 배포했다.
올해부터 신규로 착수하는 ‘학연 인력교류 지원 시범사업‘도 소개했다. 이를 통해 공동연구과제 기반 없이도 학-연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초기 협력 부담을 완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원팀(One-team) 협업체계인 ‘학연 협력 추진 협의체’를 구성해 학연 협력방안을 지속 모색하고, ‘추진전략’을 차질없이 이행할 계획이다.
디지털 나노헬스케어분야 ‘경북대-ETRI 공동연구실’ 현판식을 갖고 학-연 간 강점 자원 공유를 통한 공동연구를 시작한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학-연 간 칸막이로 작용해 온 규제는 확실히 풀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빈번한 교류를 통해 공동연구부터 인재양성, 기술사업화까지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협력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부터 대학을 지역 발전의 허브로 육성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가 전면 시행된다"며 "과기정통부 ‘학연협력플랫폼사업’과 연계해 지역 산업, 특성과 연계한 다양한 학-연 협력모델을 창출하고, 지역별 협력 거점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출연연이, 축적된 우수 인프라를 대학과 공유하며 개방형 협력의 중심이 되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역량을 한단계 제고하도록 지원하겠다"며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학-연의 강력한 협력거점*을 통해 기초원천연구부터 기술사업화까지 단절없는 전주기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