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근로일수 단축 공약 "나흘 몰아 일하고 하루 빨리 퇴근"
민주당 이재명·김동연 예비후보도 같은 화두 띄우며 '급물살'
충청권 지자체도 임신·육아 공무원 대상 시행 중… 확산 조짐
게티이미지뱅크.
조기대선을 앞두고 '근로시간'이 정치권 주요 공약으로 급부상하며 충청권 산업계와 노동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진보 진영 대선후보가 '주 4일제'를 띄운 데 이어 국민의힘도 근로일수 단축을 공약으로 내걸자 지역 산업여건과 근로환경이 화두에 오른 모습이다.
15일 지역 정치권과 경제계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전날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주 4.5일제 도입을 대선 공약에 반영키로 했다.
보수 정당에서 근로일수 단축을 공약으로 내세운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해당 의제를 선점하고 있던 민주당도 즉각 반응했다.
국민의힘은 근로시간 '유연화', 민주당은 '단축'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어 두 정당의 충돌은 불가피한 양상이다.
우선 국민의힘은 월-목요일 나흘간 하루 1시간씩 몰아서 일한 뒤 금요일엔 오전 4시간만 일하자는 주장이다. 주 5일제와 주 52시간제에 유연성을 부여하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취지다.
반면 민주당은 구체적인 공약 내용을 밝히진 않았으나 올 2월 이재명 대표가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당시 "노동시간을 줄이고 주 4.5일제를 거쳐 주 4일 근무국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언급한 만큼 근로시간 총량을 줄이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도 전날 논평을 통해 "국민의힘은 주 4.5일제를 말하면서 주 52시간제 상한 폐지를 꺼내 들었다. 앞에서는 주 4.5일제를 말하면서 뒤로는 국민 반발로 철회된 주 69시간제를 되살리려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수면 아래 가라앉았던 근로시간 단축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충청지역 산업계와 노동계도 사태를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실제 울산 중구청에선 국민의힘 안과 같은 '금요일 오후 휴무'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경기도는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를 핵심 중점과제로 내세워 이달까지 도내 50여 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모집 절차를 밟고 있다.
충청지역에서도 비슷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임신과 육아를 하는 일부 공무원에 한정된 데다 온전한 휴식이 아닌 재택 근무 전환 형식이어서 비교적 시행 범위가 협소한 실정이다.
대전시는 임신 공무원에게, 충남도는 2세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에게 주 1회 재택근무를 지원하고 있다. 충북도는 임산부와 3세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 대상으로 주 4일 근무제를 검토하는 단계다.
이에 지역 산업계에선 생산성 저하와 인건비 상승을 우려하는 한편, 노동계에선 시대 흐름에 따라 노동의 역할과 몫이 줄어드는 것은 필연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충남 한 제조업체 대표는 "제조업이나 중소기업은 인력 운용에 있어 유연성이 제한적이다. 근로일수가 줄어들면 추가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고 생산성 저하가 우려된다"며 "국민의힘 공약대로 노동시간 총량을 유지하더라도 연장 근무에 따른 가산임금이 발생할 것이다.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염려했다.
지역 한 노동조합 관계자는 "회사에서 일하는 시간이 줄어들면 자기 계발 시간을 확보하기가 용이해 업무 능률이 올라갈 것이다. 근무 만족도는 두 말할 필요 없이 수직상승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노동환경이 개선된다면 일과 가정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어 전반적인 삶의 질이 향상될 게 분명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