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R&D 현안
기업이 연구개발(R&D) 현장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현안은 인건비 등 운영비 부담 증가다. 이 가운데 장기적인 투자 여력도 떨어지면서 R&D 지원 확대와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가 부설연구소를 보유한 기업 1673개사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절반 넘는 기업이 R&D 운영비 부담 증가(61.4%)를 애로사항으로 들었다. 장기적인 R&D 투자 여력 부족(47.4%), 연구인력 확보 및 역량 강화(39.9%), 기술사업화 어려움(21.5%)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 R&D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변화 요인으로는 정부 R&D 정책·예산 변화(65.1%) 응답이 많았다. 이밖에 경제불확실성(37.4%), 기술 패러다임 변화(25.5%), 우수 연구인력 확보 어려움(24.7%) 등도 주요 변수로 꼽혔다.
산기협은 이같은 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R&D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2025년 산업기술혁신 정책 건의' 관련 기업의 요구 사항을 함께 조사했다.
산기협의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설문
산기협이 정책 건의 안건을 중심으로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과제를 조사한 결과 첨단 기술 분야 재교육 시스템 마련이 골자인 기업 업스킬링·리스킬링(87.7%) 답변이 가장 많았다. 생산인구 감소, 나날이 고도화되는 기술 여파로 산업계 연구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높은 응답을 받은 과제는 파격적 R&D조세지원제도(83.8%)였다. 어려운 경제 상황 속 기업의 팍팍한 R&D 운영 환경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기업 사업비 부담을 줄이는 내용을 골자로 한 가변형 매칭펀드 운영이 세 번째(77%)로 높은 응답을 받은 것도 같은 이유로 풀이된다.
노사 합의를 전제로 근로시간을 조정하는 R&D 분야 주52시간제 탄력적 운영(63%)도 우선 추진 과제로 지목됐다. 산학연관 거대혁신협의체 운영(59.3%)이 그 뒤를 이었다. 협의체를 통한 국가 차원 '빅프로젝트' 도출이 R&D 기업에도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의견이었다.
갖가지 규제 해소에 대한 기업 R&D 현장 열망도 설문에서 드러났다. 전주기 지원형 규제샌드박스 제도 도입(56.7%), 기업 규제혁신 지원조직 신설(53.7%)도 기업 절반 이상 지지를 받았다.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도 나타났다. 제조 AI 도입 활성화 지원(54.2%), 대표 AI 스타트업 육성(47.9%) 역시 적지 않은 기업이 추진 필요성을 피력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