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구에 있는 KAIST 전경. KAIST 제공
일부 교수의 오해 소지가 있는 메일 발송으로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QS'로부터 1년간 평가에서 제외되는 조치를 통보받은 것으로 알려진 KAIST가 내부 감사를 진행하는 중이며 윤리경영특별위원회를 새롭게 구성해 앞으로 이 같은 일을 방지하겠다는 대책을 발표했다.
21일 KAIST에 따르면 QS로부터 6월부터 1년 동안 대학평가에서 제외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에 따라 KAIST는 QS의 2026 QS 세계 대학 순위와 2026 QS 아시아 대학 순위 등 평가대상에서 제외된다.
KAIST가 QS 대학평가에서 제외된 이유는 KAIST 생명화학공학과가 지난해 11월 해외 교수 300여명에게 QS '학계 평판도' 설문조사에 참여를 요청하는 메일을 보낼 때 QS 측 동의 없이 '100달러 상품권 제공' 내용을 담았기 때문이다. 인도 출신 교수들을 중심으로 SNS에서 KAIST의 메일에 문제를 제기하자 QS가 KAIST에 징계 조치를 내린 것이다.
학계 평판도 설문조사는 QS 세계대학순위 평가의 30% 비중을 차지한다. QS가 평가 대상 대학으로부터 학계 평판도 설문 참여에 동의한 학계 연락처를 최대 400개까지 받은 뒤 이를 토대로 매년 학계 평판도 설문을 진행한다. 생명화학공학과에게 할당된 학계 연락처는 400개 중 약 20~30개다.
KAIST 관계자는 "일부 교수가 QS 설문조사에 참여를 독려하는 동시에 메일에 해외 학자들로부터 학과에 관한 자문을 받기 위한 내용을 넣으면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을 행정적 실수로 넣게 됐다"면서 "부적절한 수단을 통해 대학 순위에 영향을 미칠 의도는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KAIST는 메일이 논란이 되자 생명화학공학과에서 메일을 보낸 다음 날 메일 내용을 정정하고 사과를 하는 내용이 담긴 메일을 즉시 전송했다. 지난 1월 말 긴급 부총장단 회의를 소집하고 지난 달 초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과 홍승범 KAIST 교무처장을 영국 QS로 긴급 파견해 수습을 시도했지만 QS 대학평가 제외 조치가 이뤄졌다.
지난 10일 KAIST는 학교 공식 링크드인 등 SNS에 QS 대학평가에 관해 해명하고 진행할 대책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올렸다.
KAIST는 이들 교수에 대해 특별 감사를 진행 중이며 투명하게 감사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결과에 따라 대책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했다. KAIST는 이 같은 일을 방지하고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윤리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윤리경영특별위원회'를 새롭게 구성했다.
또 국제 대학평가 등에서 지켜야 하는 중요한 기준을 KAIST 내 모든 학과와 개인이 알 수 있도록 지침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도 밝혔다.
[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