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기사 - WSJ 갈무리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라고 부르는 관세 부과 시점 2일(현지시간)이 다가오면서 트럼프 팀에서 관세율을 높이고 보다 광범위한 관세를 매겨야 한다는 주장이 입지를 넓히고 있으며, 이는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 보도했다.
자동차와 같은 일부 종목에 이미 25%의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는 다른 분야 일반 관세의 관세율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시사했었다.
그런데 일반 관세의 관세율이 20%가 될 것이며, 전 세계 무역 상대국에 적용될 것이라고 WSJ은 전했다.
이는 감세로 인한 세수 감소로 정부 재정 적자가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논의의 핵심은 트럼프가 예고한 것처럼 무역 상대국에 대해 개별화된 관세, 즉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 아니면 미국과 거래하는 모든 국가에 영향을 미칠 보편 관세를 부과할지 여부였다.
그런데 트럼프 팀은 보편 관세 부과로 기울었으며, 관세율도 트럼프의 언질과는 달리 20%라고 WSJ는 전했다.
앞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더티 15'라고 명명했던 세계 최대 교역 상대국에 약 15%의 관세 부과를 우선시하겠다고 밝혔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2025년 2월 12일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브리핑하고 있다. 2025.02.12 ⓒ 로이터=뉴스1 ⓒ News1 김경민 기자
그가 제시한 것보다 관세가 더욱 광범위하고, 관세율도 높은 것이다.
선거기간 동안 트럼프는 보편 관세를 지지했지만, 취임 후 상호 관세로 돌아섰으나 입장을 다시 바꿔 보편 관세로 복귀한 것으로 보인다.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최종 계획이 무엇이든 대통령은 정책이 크고 단순한 것을 원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팀이 상호 관세에서 보편 관세로 급선회한 것은 대규모 감세로 인한 정부 재정 적자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각종 규제를 혁파하는 것은 물론, 부유층의 대규모 감세 카드로 당선에 성공했었다.
감세는 재정 적자를 더욱 늘릴 수밖에 없다. 이를 상쇄하기 위해 트럼프 팀은 보편 관세로 급선회한 것으로 보인다고 WSJ은 분석했다.
WSJ은 또 보편 관세 이외에 트럼프 팀은 핵심 광물과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산업별 관세 목록을 2일 공개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sino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