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밀집지역에 일 최대 2400여 명의 현장대응 인력 투입
주요 집회장소 인파 밀집도 모니터링…재난응급의료 대책 가동
(시사저널=문경아 디지털팀 기자)
2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시청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집회 대비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전후로 자치구∙소방∙경찰 등 관계기관과 함께 안전관리에 나선다.
2일 서울시는 오전 10시30분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오세훈 서울시장 주재로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를 열고 자치구∙소방∙경찰과 함께 안전 관리대책을 최종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1·2·정무부시장과 재난안전실장·교통실장·시민건강국장·소방재난본부장·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등 시민 안전대책 관련 부서 실·국장, 박희영 용산구청장, 최호권 영등포구청장, 김권기 종로구 부구청장 등이 참석했다.
우선 서울시는 탄핵 심판 선고일 하루 전날인 오는 3일부터 선고 다음날인 5일까지 총 3일 간 자치구, 소방∙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일 최대 2400여 명의 현장대응 인력을 안국역∙광화문역∙시청역∙한강진역∙여의도역 등 주요 지하철역과 인파 밀집지역에 투입할 방침이다.
서울시 재난안전상황실 상황관리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상황실과 연결된 교통∙방범용 폐쇄회로 (CC)TV를 활용해 주요 집회 장소에 대한 인파 밀집도를 모니터링하고, 실시간으로 상황을 공유하는 등 협력 체계를 가동한다. 재난안전현장상황실(재난버스)도 각 현장에 배치한다.
여의도 지역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초 오는 4일 개최 예정이던 '여의도 봄꽃축제'도 오는 8일로 연기됐다.
또 지난 3월부터 구성한 '시민안전대책본부'도 본격 가동한다. 지휘부와 8개 실무반으로 구성된 시민안전대책본부는 사전에 준비한 안전관리대책을 재차 점검하고 협조 체계를 확인할 방침이다.
아울러 교통 불편 최소화를 위해 시내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운행 조치도 시행한다. 특히 헌법재판소와 가까운 3호선 안국역은 이날부터 1~4번 출입구를 우선 폐쇄하고, 탄핵 심판 선고 당일에는 하루 종일 폐쇄 및 무정차 통과한다.
지하철 24개 역사에 하루 415명의 안전관리 인력을 배치해 승강장과 개찰구 질서 안내, 출입구 안내를 지원한다.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상황을 관리하는데 실시간 혼잡도에 따라 지하철 무정차 통과, 임시열차 편성, 출입구 폐쇄 조치 등 탄력 운행이 이뤄질 전망이다.
시내버스는 경찰의 통제에 따라 임시 우회 운행한다. 광화문 교차로와 세종대로 사거리, 안국역, 여의대로, 한남동 등 주요 집회 구간을 지나는 노선의 시내버스는 경찰의 교통 통제에 따라 무정차 또는 임시 우회 운행한다. 관련 정보는 정류소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에 제공한다.
서울시는 외국인 관광객 안전과 편의를 위해 서울 관광 누리집 '비짓서울' 및 SNS 채널을 통해 탄핵 심판 선고 당일 지하철역 폐쇄 등 정보를 다국어로 전파할 예정이다. 또 서울시관광협회 소속 500여 개 여행사∙호텔에도 집회 관련 정보와 우회 경로 안내 등을 협조 요청했다.
이동형 화장실 5개 동을 주요 집회 장소에 설치하며, 개방화장실과 이동형 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스마트서울맵', 민간지도(네이버∙카카오), 지하철 역사 등에 공개한다.
또 따릉이와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 가로쓰레기통 등도 이날까지 안국, 광화문, 여의도 등 주요 집회 장소 밖으로 이동 조치를 완료한다. 선고 전후 3일간 안국·세종사거리·광화문·여의대로·한남대로 주변 따릉이 대여소 71개소의 이용이 전면 중지되며, 선고 당일 서울공예박물관과 운현궁도 휴관한다.
탄핵 집회 과정에서 환자 발생 등에 대비해 재난응급의료 대책도 본격 가동된다. 서울시는 안국·청계광장·한남동·여의대로에 각 1개소씩 총 4개의 현장 진료소를 설치하고, 의사를 포함한 7명의 의료진을 1개 조로 3일 간 총 140명의 의료 인력을 운영한다. 현장진료소는 선고 하루 전날인 오는 3일 오후 1시부터 운영된다. 구급차도 배치해 응급상황에 대비한다.
서울시는 '재난응급의료 상황실'을 통한 재난의료 대응체계도 유지한다. 재난응급의료 상황실은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25개 자치구와 관계기관 비상연락 체계(핫라인)를 통해 신속한 응급의료 대처가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소방재난본부와 관할 소방서에는 '특별상황실'이 설치·운영된다. 주요 집회 장소인 4개 지역에 펌뷸런스·구급차 등 일 최대 136대의 소방차량과 소방대원 712명을 현장에 배치한다.
이 밖에 비상 상황에 대비한 신속대응팀, 구조·구급지원반, 상황관리반을 별도로 구성하며, 예비 소방력도 추가 배치한다.
이날 오 시장은 회의에서 "시민 단 한 분도 다치지 않게 지킨다는 각오로 안전관리에 임하겠다"며 "집회 참가자든 일반 시민이든, 모든 사람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우리의 책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