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번호이동 가입자 순증 둔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알뜰폰 스퀘어'./사진=뉴스1
알뜰폰(MVNO)의 이동통신망 도매대가 인하 첫달 번호이동 유치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이동통신 번호이동자 수 현황을 보면 알뜰폰 가입 건수는 지난달 3만2077건 순증했다. 전년동월보다 29.3%, 전월보다 24.3% 각각 감소한 실적이다.
회선 8만9503개가 이동통신(MNO) 3사에서 알뜰폰으로 유입됐고, 5만7426개는 알뜰폰에서 MNO로 유출됐다. 전년동월보다 유입건수는 7.5% 줄고 유출건수가 11.7% 늘어난 상황이다. 알뜰폰 사업자들 사이에서 발생한 번호이동은 16만6629건으로 전년동월보다 3.2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알뜰폰의 이 같은 번호이동 침체는 망 도매대가 인하를 반영한 새 요금제 출시가 본격화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월21일 도매제공의무서비스 고시를 개정, 도매제공의무사업자인 SK텔레콤이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넘기는 이통 데이터의 가격(도매대가)을 기존 대비 36.4% 낮은 1MB(메가바이트)당 0.82원으로 끌어내린 바 있다. 10년래 최대 인하폭이다.
알뜰폰 사업자의 원가부담이 줄면서 업계 안팎에선 월 1만원대에 5G 데이터 20GB(기가바이트)를 기본 제공하는 요금제가 대거 보급될 것이란 기대가 나왔지만, 현재 이 같은 요금제를 내놓은 곳은 스마텔·큰사람커넥트(이야기모바일) 등 일부 독립계 알뜰폰 사업자들에 그친다.
나머지 알뜰폰 사업자들의 출시가 늦어지는 배경엔 SK텔레콤과의 도매대가 협상에 실무적으로 소요되는 기간과 저가 요금제 출시가 자칫 출혈경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자리한다. MNO 자회사인 알뜰폰 사업자의 경우 모회사 눈치도 봐야 한다.
또 온라인 직접가입 조건과 각종 사은품으로 가입자 방어에 나선 MNO 3사의 견제는 알뜰폰 사업자들의 고민거리다. 일례로 SK텔레콤은 지난달 월 3만8000원짜리 5G 15GB(소진 후 저속 무제한 포함) 다이렉트 요금제에 매달 네이버페이 2만원권을 6개월간 끼워주는 판촉을 실시한 바 있다.
다만 LTE 가입비율 90%를 웃도는 알뜰폰 가입자들의 5G 전환수요는 알뜰폰 사업자들이 기대를 걸어볼 만한 현실이다. 과기정통부는 조만간 KT·LG유플러스까지 도매대가를 인하하면 올 상반기 안에 5G 저가 요금제가 대폭 늘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지난달 이통시장 전체 번호이동은 전년동월보다 0.2% 증가한 52만5937건으로 집계됐다. 전월에 비해선 8.6% 감소한 수준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올 7월로 다가온 단말기유통법(단통법) 폐지가 변수"라며 "MNO간 가입자 유치경쟁이 얼마나 활성화할지에 따라 알뜰폰의 성패가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성시호 기자 shsu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