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수수료 분쟁에 업계 난항
LG헬로비전 영업이익 56억 추정
KT스카이라이프도 성장 예상 불구
4분기 콘텐츠 제휴 비용 등 빠지면
연간 기준으로는 수익 감소 가능성
"낡은 규제 과감히 철폐해야" 지적
유료방송 업계가 지난 1·4분기 흑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지만 업계 전망은 여전히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업 성장 정체가 장기화되고 있는데다 신사업도 좀처럼 크지 않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오래된 유료방송 규제를 과감히 풀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LG헬로비전·스카이라이프 흑자 전망
7일 금융조사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헬로비전의 올해 1·4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전망치)는 56억원으로 추정됐다. 전년 동기(41억원) 대비 36.5% 증가한 수치다. LG헬로비전 분기 영업이익이 전 분기보다 오르는 건 3분기 만이다. LG헬로비전은 지난해 2·4분기 7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3·4분기에 33억원으로 줄었고, 4·4분기에 13억원 적자로 돌아선 바 있다.
KT스카이라이프도 올 1·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29억원)보다 48.2% 늘어난 4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KT스카이라이프 역시 지난해 4·4분기(-56억원) 이후 1분기 만에 다시 흑자로 돌아설 전망이다.
그러나 인터넷TV(IPTV) 업계는 여전히 한숨을 쉬고 있다. 4·4분기의 경우 콘텐츠 제휴 비용 지출이 많은데다, 홈쇼핑 수수료 감액 등으로 수익이 줄어 1·4분기와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등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의 부상으로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세가 멈추는 등 위기도 이어지고 있다.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OTT 유료 가입자 비율은 2021년 50.1%에서 2023년 57.0%로 올라간 반면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같은 기간 1656만명에서 1643만명으로 줄어들었다.
■시행착오 겪는 신사업 전략
유료방송 업계는 사업 다각화를 추진중이다. 하지만 신사업이 더디게 진행되거나 지속가능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LG헬로비전은 다양한 장르의 전시를 선보이는 복합문화공간인 '뮤지엄엘'을 닫는다. 지난해 7월 인천에 문을 연 지 1년이 채 안돼 사업 정리 수순을 밟는 것이다. 당초 LG헬로비전은 뮤지엄엘 방문자 수가 꾸준히 늘고, 유료발권율이 증가하면서 올해 월간 손익분기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개관 이후 적자가 지속적으로 쌓이자 사업성이 떨어지자 빠르게 철수 결정을 내렸다.
KT스카이라이프도 지난해 진출한 인공지능(AI) 기반 스포츠 중계 사업의 실적 기여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과거 유료방송 호황기에 대거 도입된 규제를 풀어 시장 활성화 마중물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OTT 프로그램에선 직접 흡연 장면이 여과없이 송출되지만, TV방송은 이 같은 행위가 금지돼 있다. 유료방송 업계는 홈쇼핑 업계와 송출 수수료 갈등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가 송출 수수료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지만, 강제성이 없어 해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