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미 관계 개선으로 인한 북·러 관계 영향 우려하지 않아"
"北 비핵화 협상 불가능…두만강 교량 건설 곧 시작할 것"
윤정호 북한 대외경제상과 악수하는 마체고라 주북러대사 [주북 러시아 대사관 페이스북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모스크바=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최인영 특파원 = 북한이 미국과 러시아의 대화 재개에 긍정적으로 반응했으며 양국 관계 개선이 북·러 관계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지 않는다고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북한 러시아 대사가 말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27일(현지시간) 러시아 리아노보스티 통신 인터뷰에서 지난 21일 평양을 방문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미국과 접촉에 대해 상세히 알렸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마체고라 대사는 "북한은 미국의 이전 행정부에서 중단된 러시아·미국 접촉이 재개된 것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했다"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선의가 아니라 우크라이나에서 서방 연합군과 맞서며 우리나라가 달성하고 있는 성공 때문에 이뤄진 일이라고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북한 친구들은 이번 접촉이 북·러가 함께 피를 흘리며 결속한 형제적 우호 관계인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조금도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접촉할 의향을 보이는 것에 대해 "북한이 응하고 한반도 비핵화 협상이 진행될 가능성엔 아직 실질적인 접촉 제안을 보지 못했다"며 "북한과 비핵화 협상은 앞으로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지난해 9월 "북한에 적용하는 '비핵화' 용어 자체가 모든 의미를 잃었다. 우리에게 이것은 종결된 문제"라고 말한 바 있다고 인용했다. 러시아는 북한 비핵화를 지지하는 입장이었으나 북한과 관계 강화에 나선 이후 한반도 비핵화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마체고라 대사는 미국이나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만남을 위해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북한 지도부에 누군가의 중재가 필요하지 않는다고 확신한다"며 "북한과 미국에는 여러 가지 소통 채널이 있다"고 했다.
러시아와 북한 국경에 있는 두만강에 다리를 건설하는 사업이 현재 준비 중이며 조만간 공식적으로 착공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6월 평양에서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 한 뒤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과 함께 '두만강 국경 자동차다리 건설에 관한 협정'도 체결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러시아와 북한이 다른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몇 가지 더 준비하고 있으며 추후 일부가 발표된다고 예고했다. 또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체결 이후 교역 규모가 많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북한에 대한 러시아 석유 공급에 대해서는 "30년간 북한에 석유를 공급하지 않았다"고 일축했고, 올해 러시아와 북한이 합동 훈련을 계획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답했다.
또 러시아가 시리아 주재 북한 대사관 인력·가족들의 대피를 도왔지만 북한에서 그들이 시리아로 돌아갈 수 있게 도와달라는 요청은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abbi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