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에 공매도까지 이중고…코스피 3% 하락 마감
공매도 1.7조, 반도체·2차전지에 집중 포화
모든 상장 종목의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3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달러·원 환율이 전 거래일 대비 6.90원 오른 1,473.40원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6.86p(3.00%) 하락한 2,481.12, 코스닥 지수는 20.91p(3.01%) 하락한 672.85으로 장을 마감했다. 2025.3.31/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공매도 재개까지 겹치며 코스피가 약 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공매도 주요 타깃이 시가총액 상위종목인 반도체와 이차전지(2차전지) 대형주에 집중되며 하락을 주도했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날 대비 76.86p(3.00%) 하락한 2481.12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2월 3일(2453.95) 이후 최저치다.
코스피에서는 외국인 매도세가 두드러졌다. 이날 기관은 6669억 원, 개인은 7899억 원 각각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은 1조 5754억 원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코스닥도 3%대 하락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은 전날 대비 20.91p(3.01%) 하락한 672.85에 장을 마쳤다. 개인은 638억 원, 기관은 1477억 원 각각 순매수했다. 반면 외국인은 2150억 원 순매도했다.
이날 증시 급락은 여러 악재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와 미국 스태그플래이션 우려, 공매도 재개 등 변동성 확대 요인에 투심이 경색됐다"며 "코스닥은 에코프로 그룹을 포함해 2차 전지 소재주가 공매도 영향권에 들며 급락했다"고 설명했다.
공매도 재개 첫날 투자심리가 위축된 데다, 대형주들이 잇따라 공매도 타깃이 되면서 지수 부진으로 이어졌다. 공매도 자체가 주가를 직접 끌어내리진 않지만, 매도 포지션이 일시적인 수급 부담을 주며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한국거래소와 넥스트레이드 전체 시장(시간 외 거래 포함)에서 공매도 거래대금 규모는 코스피 1조 3018억 원, 코스닥 4272억 원 등 총 1조 7290억 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외국인 자금은 1조 5435억 원으로 전체의 89.27%를 차지했다.
코스피 공매도 거래대금은 반도체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집중됐다. 삼성전자(1조2668억 원)와 SK하이닉스(9458억 원)는 각각 3.99%, 4.32% 하락했고, 현대차(-3.80%)와 LG에너지솔루션(-6.04%)도 각각 2177억 원, 2188억 원의 공매도가 집중되며 상위권에 올랐다.
코스닥에서는 2차전지 그룹주인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에 공매도 거래대금이 몰렸다. 에코프로에는 1502억 원이 몰리며 공매도 거래 비중이 직전 거래일 4.35%에서 34.78%로 급증했다. 에코프로비엠 역시 948억 원이 거래돼 비중 21.64%로 상위권에 올랐다.
트럼프 정부의 상호 관세 발표도 시장을 얼어붙게 한 요인이다.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강행에 이어 4월 2일 미국의 상호관세 내용이 발표되면 글로벌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리라는 예상이 제기된 상황이다. 심지어 미국 언론에선 전세계에 20% 관세를 매기는 '보편관세' 보도까지 나왔다.
관세 전쟁으로 경제적 타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주 말(28일) 공개된 미국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시장 예상을 웃돌며 인플레이션 우려도 커졌다.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 둔화) 공포에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됐고, 지난주 금요일 뉴욕증시 주요 지수 모두 하락했다.
증권가는 이번 급락세도 상승 반전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코스피는 멕시코·캐나다와 중국 관세 부과 영향에 2월 27일 0.73% 하락한 데 이어 28일에는 3.39% 급락했는데, 이후 관세가 유예되면서 빠르게 분위기가 반전돼 3월 2650선까지 레벨업한 바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 주말에 이은 이날 급락은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리스크를 선반영하는 과정"이라며 "20% 보편관세 부과와 이로 인한 경기 침체, 물가 급등 우려까지 선반영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보다 더 강한 관세부과가 현실화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분위기 반전의 시작이 될 가능성 높다"고 판단했다.
seunghe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