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일평균 1650만명 방문
中 딥시크 이용자 따라잡아
챗GPT 이어 AI 서비스 2위
욕설 뱉고 실제 인물사진 합성
SNS기반 여론 흐름도 전달
필터링 없는 AI로 인기몰이
일론 머스크 xAI 최고경영자(CEO)가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인공지능(AI)"이라며 자신 있게 선보인 '그록(Grok)'의 성장세가 무섭다. 지난 2월 추론형 새 모델 '그록3'를 선보인 지 불과 한 달 만에 글로벌 일간 사용자 1600만명을 돌파하며 중국 대표 AI 딥시크와 같은 수준의 트래픽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머스크 본인이 스스로 나서 그록을 알리고 있는 데다 그록 개발사인 xAI가 최근 X(엑스·옛 트위터)를 합병하면서 시너지가 기대되는 만큼 그록의 시장 침투 속도는 앞으로 더 빨라질 전망이다.
2일 정보통신(IT) 업계와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그록 서비스 이용자는 지난 3월 기준으로 하루 평균 1650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 최신 모델 그록3를 탑재하며 전면 무료화를 선언한 지 한 달 만에 800%나 넘게 트래픽이 급증했다.
그 결과 그록 이용자는 딥시크(1650만명) 수준으로 올라서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AI 서비스 순위에서 오픈AI '챗GPT'(1억2600만명)에 이어 2위권을 형성했다. 같은 기간 구글 '제미나이' 이용자는 일평균 1090만명, 앤스로픽 '클로드'는 330만명인 것과 비교하면 놀라운 상승세다.
그록은 머스크가 2023년 7월 설립한 인공지능 회사 xAI가 개발한 생성형 AI다. X가 보유하고 있는 광대한 데이터와 테슬라의 AI 인재 등 머스크 소유 회사에서 자원을 끌어다 만든 만큼 단시간에 빠르게 AI역량을 확보한 것이다. 특히 글로벌 대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X의 데이터를 활용하기에 이용자 질문에 대해 SNS상 메시지를 기반으로 여론 흐름을 알려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지난 2월 공개한 추론형 모델 그록3는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H100 10만개를 2억시간 동안 훈련시켜 이전 모델인 그록2보다 10배 높은 연산력을 갖췄다.
당시 xAI는 그록3가 수학·과학 등 일부 분야 벤치마크에서 오픈AI의 GPT 4o, 앤스로픽의 클로드 3.5 소넷, 딥시크의 V3보다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록3 출시 당시 xAI는 X 유료 구독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머스크는 출시 3일 만에 "우리의 서버가 녹아내리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AI인 그록3를 무료화한다"며 누구나 제한 없이 쓸 수 있도록 허용했다.
뛰어난 능력과 함께 그록이 단기간에 인기를 모을 수 있던 비결로는 '필터링 없는 AI'라는 점이 꼽힌다. 평소 표현의 자유를 강조하는 머스크 성향에 맞춰 '선 넘는 모드(Unhinged Mode)'를 탑재한 그록은 다른 생성형 AI가 피했던 민감한 이슈나 인물에 대한 묘사를 서슴지 않는다. 질문에 따라 사람처럼 욕설을 내뱉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머스크가 함께 포옹하는 그림을 그려달라는 요청에는 바로 실제 사진과 구분하기 어려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최근 머스크가 소셜미디어 X를 xAI에 매각한 것도 결과적으로 xAI 성장에 힘을 실어준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딜의 목적은 머스크가 X에 대한 부채 부담을 xAI에 넘기는 실리적인 이유도 있지만 특히 업계에서는 X가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를 xAI가 사실상 제한 없이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빠르게 성장하는 과정에서 잇따른 잡음이 발생하는 것도 주목된다. 최근 그록은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을 검열한다는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김태성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