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대 높던 명품들 '초비상'
사진=최혁 기자
"2030 세대 명품 소비가 확 줄었습니다. 백화점 명품관 가보세요. 오픈런은 커녕 이젠 비었어요"
주요 명품들의 매출이 올 들어 전년 대비 빠르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불황 국면에서 중산층이 접근 가능한 명품 브랜드들이 줄줄이 고전하고 있단 분석이다. 특히 젊은층의 구매력이 떨어지면서 명품 브랜드들의 성장세가 멈췄다. 줄줄이 가격인상에 나섰던 명품 업체들이 '가격 한계'에 부딪혔다는 평가다.
27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케링그룹의 지난 2월 카드결제 추정액은 전년 대비 10.3% 감소한 381억원이다. 구찌·발렌시아가·보테가 베네타·부쉐론·브리오니·생로랑·알렌산더 맥퀸 등 7개 명품 브랜드 매출이 더해진 결과다. 월 매출로 통계가 집계된 2018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사진=최혁 기자
루이비통·지방시 등 17개 브랜드를 포함한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2월 카드 결제액도 전년 대비 4.2% 감소한 146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디올(-24.8%), 버버리(-22.4%), 샤넬(-8.4%) 등도 명품 소비 감소 흐름을 피해가지 못했다.
명품 브랜드들은 수년 간 공격적인 가격인상을 단행해왔다. 원자재·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그 이면에는 가격 인상에도 수요가 줄지 않는다는 자신감이 깔려있었다. 2023년엔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와 디올 등 4대 명품 브랜드 한국 매출이 5조원을 넘겼을 정도다. 하지만 경기가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젊은 세대의 패션 소비가 디자이너 스몰 브랜드 중심으로 달라지면서 명품의 인기도 꺾이고 있다. 올해 초에도 명품 브랜드들이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선 뒤 수요가 급감한 까닭이다.
명품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가운데 초고가로 꼽히는 에르메스는 오히려 매출이 증가했다. 에르메스의 2월 카드 결제 추정액은 607억원으로 전년 대비 19.8% 증가했다. 명품 브랜드 내에서도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얘기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패션 소비 양극화가 명품 브랜드 간에도 일어나고 있다”며 “중산층의 구매력이 빠르게 위축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고윤상 기자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